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[입출력 예]
sresult
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| [2, 1, 3, 4] |
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| [2, 1, 3, 4] |
"{{20,111},{111}}" | [111, 20] |
"{{123}}" | [123] |
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| [3, 2, 4, 1] |
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입출력 예 #1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3
(111, 20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11}, {111,20}}이 되며, 이는 {{20,111},{111}}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4
(123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23}} 입니다.
입출력 예 #5
(3, 2, 4, 1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3},{3,2},{3,2,4},{3,2,4,1}}이 되며, 이는 {{4,2,3},{3},{2,3,4,1},{2,3}}과 같습니다.
해시를 이용한 문제인데, 문자열 처리가 더 귀찮았던 문제다.
이 문제는 집합의 크기가 작은 집합부터 각 원소를 정답 벡터에 추가해주면 되는 문제이다.
마지막 입출력 예를 설명해보자면 {{4,2,3},{3},{2,3,4,1},{2,3}}에서 이를 크기가 작은 집합부터 정렬해보면
{{3},{2,3},{4,2,3},{2,3,4,1}}이 된다.
첫번째 집합 {3}에서 3을 answer에 추가하고, 두번째 집합 {2,3}에서 3은 이미 추가했으므로 2를 추가, 그 다음엔 4, 1을 추가해주면 3-2-4-1이 맞는 정답이 된다.
이 과정은 그냥 벡터를 일일이 검색하면 되므로 어렵지 않다.
문제는 저 벡터를 만드는 것이다.
우선 문자열을 하나씩 읽으면서 '{'는 건너뛰고 숫자가 나오면 숫자를 저장한다. '}'나 ','가 나오면 현재 저장한 숫자를 임시 벡터에 넣는다. 임시로 만든 벡터가 tmp이고, 최종적으로 검사할 벡터를 v라고 했다.
v에는 tmp의 크기와 tmp를 넣는다. 아까 그 예시를 다시 설명해보면
v = {
{1, {3}},
{2, {2, 3}},
{3, {4,2,3}},
{4, {2,3,4,1}}
}
이 된다. 물론 저렇게 1, 2, 3, 4 순서대로 있게 하려면 sort를 해줘야 한다. 정렬을 하기 위해 tmp 벡터의 크기를 첫번째 원소로 둔 것이다. v 벡터까지 정렬했다면 차례대로 원소를 읽으며 map을 검색한 후 map에 없다면 기록하고 정답 벡터 answer에 넣어주면 끝이다.
코드 원본 : https://github.com/chosh95/STUDY/blob/master/Programmers/%ED%8A%9C%ED%94%8C.cpp
chosh95/STUDY
프로그래밍 문제 및 알고리즘 정리. Contribute to chosh95/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C++ 코드
#include <string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map>
using namespace std;
vector<int> solution(string s) {
vector<int> answer;
vector<pair<int,vector<int>>> v;
vector<int> tmp;
map<int, int> m;
for (int t=0, i = 0; i < s.size()-1; i++) {
if (s[i] == '{') continue;
else if (s[i] == '}') {
tmp.push_back(t);
t = 0;
v.push_back({ tmp.size(),tmp });
tmp.clear();
}
else if (s[i] == ',') {
if (s[i - 1] == '}') continue;
tmp.push_back(t);
t = 0;
}
else {
t *= 10;
t += (s[i] - '0');
}
}
sort(v.begin(), v.end());
for (int i = 0; i < v.size(); i++) {
for (int j = 0; j < v[i].second.size(); j++) {
int cur = v[i].second[j];
if (m[cur] == 0) {
m[cur] = 1;
answer.push_back(cur);
}
}
}
return answer;
}
int main()
{
vector<int> ans = solution(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);
}
'알고리즘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실패율 (0) | 2020.06.12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호텔 방 배정 (0) | 2020.06.11 |
[프로그래머스] 서울에서 경산까지 (0) | 2020.06.05 |
[프로그래머스] 도둑질 (0) | 2020.06.05 |
[프로그래머스] 순위 (0) | 2020.06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