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R 모델이란(Entity Relation Model)
요구분석 단계에서 얻은 데이터를 개체, 속성, 관계로 기술하는 데이터 모델이다.
개체(Entity) : 실세계에서 다른 객체들로부터 구분될 수 있는 객체이다. 예로는 a회사, b학교, b학교의 특정부서 등이 있다. 같은 종류의 개체들을 하나의 집합으로 식별하는 것이 유용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모임을 개체 집합(Entity Set)이라고 한다.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는 직사각형으로 표시한다.
속성(Attribute) : 하나의 개체는 속성의 집합을 사용해서 기술된다. ER 다이어그램에서 타원형으로 표현된다. 기본키에 해당하는 속성에는 밑줄을 긋는다.
관계(Relationship) : 둘 이상의 개체들 사이의 관련성이다. ER 다이어그램에서 마름모로 표현한다.
키 제약조건
한 개체가 얼마나 많은 다른 개체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나타내는 제약조건
일대일(1:1) 관계집합 : 두 개체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된다.
일대다(1:N) : 하나의 개체가 다른 여러개의 개체와 관계있을 때
다대다(N:M) : 개체가 여러 개체와 관계있을 때
참여 제약조건
한 개체가 다른 개체에 얼마나 의존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약조건
전체 참여 : 한 개체의 모든 개체가 다른 개체와 관계가 있을때
부분 참여 : 전체가 아닌 일부가 참여할때
약개체 : 약개체의 속성 일부와 식별 소유자에 해당하는 개체의 기본키를 결합해야만 유일하게 식별될 수 있는 개체.
약개체집합의 속성들의 부분집합은 그 약개체집합의 부분키라고 불린다.
'프로그래밍 이론 & 책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B] 관계 모델 (0) | 2020.06.04 |
---|---|
[DB] 데이터베이스 설계 (0) | 2020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