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MVC

가장 많이 사용하는 개발 패턴으로 서비스를 위한 각 부분을 분리해 만들고, 이를 통해 개발 및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인다.

Model : 데이터를 관리하는 부분

View : 눈에 보이는 부분을 구성

Controller : 요청에 따른 흐름을 제어하는 부분

        @Bean : 메서드를 통해 반환하는 객체를 Bean으로 등록합니다.

        @Component : 개발자가 만든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여 Bean으로 등록합니다.

        @Controller : Component의 일종으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Bean을 등록합니다.

        @RestController : Component의 일종으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Beand을 등록합니다. Restful API 서버 구성 시 사용합니다

 

        @ControllerAdvice : 예외가 발생했을 때 사용할 Global Exception Handler로 사용할 Bean을 등록합니다.

        @Service : Controller에서 호출하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Bean을 정의합니다. @Component로 정의한 Bean과 차이는 없습니다.

        @Repository : @Service로 정의한 Bean에서 호출하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Bean을 정의합니다. Bean은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구현합니다. @Component로 정의한 Bean과 차이가 없습니다.

à 모두 똑같은 Bean 객체이지만, 해당 객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게 하기 위해 각각 다른 어노테이션으로 선언하는 것이다.

728x90

'프로그래밍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pring] RestController  (0) 2020.04.07
[Spring] 예외 처리  (0) 2020.04.06
[Spring] Interceptor  (0) 2020.04.04
[Spring] Validator 커스터마이징  (0) 2020.04.03
[Spring] JSR-380 오류들  (0) 2020.04.03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