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8.1 스프링 설정 파일 분리
설정 파일이 너무 길어지면 비효율적이므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정 파일을 분리한다.
applicationContext.xml에 모두 설정해둔 것을 기능별로 나눠 appCtx1.xml, appCtx2.xml, appCtx3.xml으로 분리한다. 이름도 기능에따라 설정하는 게 좋다.
main 함수에서는 string 배열을 이용해 각 xml 파일을 로드한다.
import 태그를 이용해 Ctx1.xml Ctx2.xml을 import해서 한 파일로 xml을 합칠수도있다. 보통 배열로 사용하는 방법을 더 선호한다.
8.2 빈(Bean)의 범위
싱글톤(Singleton) : 스프링 컨테이너에 생성된 빈(Bean) 객체의 경우 동일한 타입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한 개만 생성이 되며, getBean() 메소드로 호출될 때 동일한 객체가 반환된다.
-> 컨테이너가 이미 객체를 한 개씩 생성했기 때문에, 생성된 동일한 객체를 반환하게 된다.
프로토타입(Prototype) : 싱글톤 범위와 반대의 개념. 프로토타입의 경우 개발자는 별도로 설정을 해 줘야 하는데, 스프링 설정 파일에서 빈(Bean)객체를 정의할 때 scope 속성을 명시해 줘야한다.
ex) <bean id="classA" class="com.ClassA" scope="prototype">
getBean으로 객체를 참조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게 된다.
싱글톤이 디폴트이므로 필요할 때만 프로토타입을 설정한다.
728x90
'프로그래밍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의존 객체 선택 (0) | 2020.03.19 |
---|---|
[Spring] 의존 객체 자동 주입 (0) | 2020.03.19 |
[Spring] 다양한 의존 객체 주입 (0) | 2020.03.19 |
[Spring] DI(Dependency Injection) (0) | 2020.03.19 |
[Spring] 또 다른 프로젝트 생성 방법 (0) | 2020.03.18 |